분류 전체보기80 🦵 반월상연골 손상, 당신의 무릎은 안전한가요? 📌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이 찌릿하거나 ‘딱’ 소리가 나신다면, 반월상연골 손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. 안녕하세요 전소희 필라테스 입니다^^ 오늘은 무릎의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인 반월상연골(Meniscus)의 역할과 손상 시 증상, 그리고 그에 대한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✅ 1. 반월상연골 손상 발병률과 주요 특징일반 인구 중 10만 명당 약 60명(0.6%)에게 발생합니다.특히 증상이 있는 골관절염 환자의 75%가 반월상연골 손상을 동반합니다.평균 발병 연령은 남성의 경우 41~50세, 여성은 61~70세로 남성이 4배 정도 더 흔히 발생합니다.10세 이하 소아에게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, 선천적으로 원판형 반월상연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드뭅니다.✅ 2. 반월상연골의 주요 기능.. 2025. 6. 13. 📅 임신 중 주차별 검사 총정리 안녕하세요 전소희 필라테스 스튜디오입니다 ;)오늘은 임신을 하게 되면 주차별로 하게 될 검사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 하려합니다.출산까지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위해 받게 될 검사에 대해 미리 공부 해보시면 너무 좋을거 같아요! 건강한 출산을 위한 필수 가이드임신은 여성의 몸과 마음, 생활 전체가 달라지는 중요한 여정입니다.이 시기에 필요한 다양한 산부인과 검사를 주차별로 알고 대비하면 훨씬 더 안정된 출산 준비가 가능합니다.오늘은 premamacare_official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소개된 내용을 바탕으로, 임신 주차별 검사 일정과 그 의미를 정리해드립니다. 📌 출처: @premamacare_official (인스타그램), 의료 교육 슬라이드강의 출처: 스포메드랩(spomedlab_official.. 2025. 6. 12. 🍼출산 방식과 유산균 섭취가 태아 면역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전소희 필라테스 스튜디오 입니다. 산모들이 항상 의문을 품고 있는 질식분만에 대한 좋은 정보가 있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. 출처: @premamacare_official, @spomedlab_official (인스타그램 게시글, 2024.05.07) 산부인과 전문의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바에 따르면 질식분만(Vaginal delivery)과 제왕절개(C-section)는 모두 좋은 출산 방법입니다. 단, 최근 일부 연구들은 질식분만이 아기의 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어 이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 1️⃣ 질식분만의 면역학적 효과 📌 연구 내용질식분만 시, 아기는 산도를 지나며 산모의 질내 미생물(특히 Lactobacillus, Bifidobacteria)에 .. 2025. 6. 11. 🔄 "무릎이 아프지만, 문제는 고관절일 수 있다?" 슬개대퇴통증 단순히 무릎 통증의 문제를 넘어고관절, 발목, 체간까지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질환일 수 있습니다. 📌 1. 고관절과 발목의 영향📍 고관절: 과도한 내회전은 슬개골의 궤적에 영향을 줍니다.→ 대퇴골의 회전이 슬개골을 비틀게 만들고, 압력을 증가시킴 📍 발목:발목의 과회내(pronation) 현상→ 체중 분산이 무너지고, 무릎의 정렬이 붕괴됨→ Dynamic Valgus 발생 (무릎이 안으로 붕괴되는 현상) 📌 2. Powers 교수팀의 복합 메커니즘 차트 논문 요약:PFP는 다양한 요인의 복합작용 결과로 발생크게는 "접촉면 감소"와 "관절 반력 증가"가 주 원인 📊 수정 가능한 요인 대퇴사두근 약화고관절 내회전발목 가동성 부족다리 정렬 이상 📊 수정 불가능 요인해부학적 구.. 2025. 6. 10. ✅ 왜 내 무릎은 계속 아플까? 슬개대퇴통증(PFP)의 진짜 원인과 복합 메커니즘 🔎 무릎 뚜껑뼈(슬개골)의 움직임이 문제입니다슬개골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대퇴골(허벅지 뼈)과 부딪히거나 비틀리는 경우,과도한 압력(overpressure)이 발생해 통증을 유발합니다. 📌 주요 원인:슬개골이 정렬 불량(tilt, glide, rotation)대퇴골의 과도한 내회전고관절과 발목의 움직임 이상 👉 특히 '스쿼트 동작'에서 슬개골이 얼마나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지를비침습적으로 촬영한 연구(슬라이드 48)에서는건강한 사람과 PFP 환자의 슬개골 움직임이 명확히 다름을 보여주었습니다. 🧠 [2] 단일 원인이 아닌,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합니다논문에서는 이를 Multifactorial Pathomechanics라고 표현합니다. 💥 예를 들.. 2025. 6. 9. ✅ 무릎 통증(PFP) 재활운동, 어떤 순서로 접근해야 할까? 🦵 슬개대퇴통증(PFP), 단순한 근력 운동으로는 부족합니다"무릎 앞쪽이 계속 아프고, 운동할 때마다 불안해요."이런 분들에게 단순한 허벅지 강화운동만으로는 회복이 어렵습니다.왜냐하면, 신경계의 억제와 움직임의 질적 저하가 함께 있기 때문입니다.📌 슬개대퇴통증 운동 접근법 요약슬개대퇴통증(PFP) 재활 가이드라인의 핵심 요소입니다. 🟢 1. 다차원 움직임 조합 요소 분석단일 다리(Single Leg) 기반 동작 43개Z축 조절 운동(Z-axis Control) 12개엉덩이 근육 이심성 강화(Hip eccentrics) 8개3면운동(Triplanar) 조합 5개 → 실제로 재활운동은 여러 가지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.📌 운동은 한 방향이 아니라, 다양한 움직임에서 조절력을 길러야 한.. 2025. 6. 8. 이전 1 2 3 4 ··· 14 다음